-
우리는 쌀을 얼마나 소비하고 생산할까? (feat.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포함)생활꿀팁 2023. 4. 10. 13:53반응형
요즘 쌀값 폭락과 관련해서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정부의 쌀 초과생산량에 대한 의무 매입이 가시화 되어 가고 있는데요,,,
정부는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반대하며 거부권(재의요구권)을 접수해놓은 상태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먹는 쌀의 양은 어느정도이고, 쌀을 생산하기위해서는 어느정도의 비용이 드는지
또 쌀을 생산하는 농민들의 수익률을 얼마나 되는지 알아볼까요?
우리는 쌀을 얼마나 소비할까?
항목별 1인당 연간 소비량 위 그래프는 1980년 부터 2020까지 우리가 소비하는
쌀, 밀가루, 계란,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의
소비 추계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한 눈에 봐도 알 수 있듯이
쌀은 통계자료가 작성된 1980년 대비 -56.4%감소, 연평균 -2.1%씩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고
밀가루는 1980년 대비 -10.7%감소 했으며,
대신 육류소비가 2000년 대비 2020년에
소고기,돼지고기 각각 52.8%, 57.6% 증가,
닭고기가 112.4% 증가하는 형태로 빠른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계란은 2005년 대비 2020년까지 연평균 1.4%정도의 상승곡선을 보이고 있으며,
증가율은 2005년대비 22.7%이다.
쌀 소비량을 어떤 항목이 대체 했을까?
각 항목별 1인당 연간 소비량 그래프를 봤을때 쌀 소비의 가파른 감소를 밀가루가 아닌 육류 소비가 대체한것으로 보인다.
체감상 2000년 이후에 우리 주위의 소비행태를 보면 회식이나 외식때 밥보다는 육류 위주로 소비한 것을 쉽게 볼 수 있을 텐데, 이러한 현상이 통계에도 그대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작물별, 연도별 생산량은 어떻게 될까?
항목별, 연도별 생산량 위 그래프를 보면 쌀 생산량은 1990년을 기점으로 소비량에 맞춰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대신 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의 생산량이 늘어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다른 기타 작물들은 연도별 완만한 상승이나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우리가 가장 많이 생산하고 소비하는 항목이 쌀에서 육류로 빠르게 바뀐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정부정책] - 양곡관리법 A to Z
양곡관리법 A to Z
양곡관리법개정안(본회의 수정안)이 국회 본회의(2023.03.23)를 통과하면서 정부로 이송되었다.(2023.03.31) 하지만 정부(윤석열)는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하며 국무회의에서 상정,의결된 양곡관
thinkdiff.tistory.com
반응형'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을 생산하는 비용과 수익은 어떻게 구성될까요?(feat. 논벼 생산비) (0) 2023.04.10 우리 집 에어비앤비로 돈 좀 벌어볼까? (0) 2022.12.26 2023년 바뀌는 제도 (0) 2022.12.26 핫팩은 어떻게 해서 뜨거워 지는 걸까?(핫팩원리) (0) 2022.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