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쌀을 생산하는 비용과 수익은 어떻게 구성될까요?(feat. 논벼 생산비)생활꿀팁 2023. 4. 10. 15:01반응형
출처: 통계청 농축산물생산비조사_2022년산 논벼(쌀) 생산비조사 결과
1. 연도별 논벼(쌀) 생산비용 추이
연도별 논벼(쌀) 생산비 추이 (단위 : 원, %, kg) 구 분 2021년 2022년 전년대비 증 감 증 감 률 □ 10a당 논벼 생산비 792,265 854,461 62,196 7.9 ◦ 직접생산비 500,266 568,319 68,053 13.6 ◦ 간접생산비 291,999 286,143 -5,856 -2.0 □ 20㎏당 쌀 생산비 28,942 31,631 2,689 9.3 □ 10a당 쌀 생산량1) 530 518 -12 -2.3 우리가 먹는 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여러 항목의 생산 비용이 발생한다.
각 항목별로 2021년과 2022년 2개년치의 내용을 살펴보면10a당 논벼 생산비는 85만4천원으로 전년대비 6만2천원(7.9%) 증가
논벼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크게 직접비와 간접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직접비가 2021년 대비 2022년에 13.6% 크게 증가했고, 반대로 간접비는 -2% 정도 감소한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직접생산비는 비료 구입비*, 노동임금 상승 등으로 증가,
간접생산비는 산지 쌀 가격 하락 등으로 토지용역비** 감소* 비료비: ('21) 51,984원 → ('22) 89,083원(37,099원, 71.4%)
** 토지용역비: ('21) 284,269원 → ('22) 276,430원(-7,839원, -2.8%)
20kg당 쌀 생산비는 3만2천원으로 전년대비 3천원(9.3%) 증가
10a당 쌀 생산량*이 전년대비 12kg(-2.3%) 감소
* 일조시간 및 강수량 부족으로 포기당 이삭수 및 완전낟알수 감소
2. 연도별 논벼(쌀) 수익성 추이
연도별 논벼(쌀) 수익성 추이 (단위 : 원, %, %p) 구 분 2021년 2022년 전년대비 증 감 증 감 률 □ 10a당 총 수 입 (a) 1,294,243 1,171,736 -122,507 -9.5 □ 10a당 생 산 비 (b) 792,265 854,461 62,196 7.9 ◦ 10a당 경 영 비1) (c) 508,375 566,121 57,746 11.4 ◦ 10a당 내 급 비2) 283,889 288,340 4,451 1.6 □ 10a당 소 득 (a)-(c) 785,867 605,615 -180,252 -22.9 ◦소득률3) 60.7 51.7 -9.0 - □ 10a당 순 수 익 (a)-(b) 501,978 317,275 -184,703 -36.8 ◦순수익률4) 38.8 27.1 -11.7 - 주: 1)경영비=생산비-내급비, 2)내급비=자가노동비+자가토지용역비+자본용역비
3)소득률 = (소득/총수입)×100, 4)순수익률 = (순수익/총수입)×100
10a당 논벼 순수익은 31만7천원으로 전년대비 18만5천원(-36.8%) 감소
산지 쌀 가격 하락으로 총수입이 12만3천원(-9.5%) 감소, 생산비는 6만2천원(7.9%) 증가
10a당 논벼 순수익률은 27.1%로 전년대비 11.7%p 감소, 소득률은 51.7%로 전년대비 9.0%p 감소
3. 재배규모별 논벼(쌀) 생산비
재배규모별 논벼(쌀) 생산비 (단위: 천원) 구 분 전국 0.5ha
미만0.5~
1.01.0~
1.51.5~
2.02.0~
2.52.5~
3.03.0~
5.05.0ha 이상 □ 10a당 논벼 생산비 854 1,082 970 935 882 857 843 824 763 ◦ 직접생산비 568 827 709 655 597 579 572 519 458 - 종묘비 27 46 34 30 30 36 35 23 20 - 비료비 89 90 91 89 88 88 85 87 90 - 농약비 33 32 30 31 31 33 29 29 39 - 농구비, 영농시설비 35 51 48 42 40 36 28 36 29 - 노동비 193 251 210 203 181 180 194 173 179 - 위탁영농비 139 307 248 212 186 159 157 112 46 - 기 타1) 52 49 48 50 42 47 43 59 56 ◦ 간접생산비 286 255 261 280 286 278 271 305 305 - 토지용역비 276 240 248 269 276 269 262 297 297 - 자본용역비 10 15 13 11 10 9 9 8 8
4. 주요용어
1) 논벼(쌀) 생산비
◦ 논벼(쌀)를 생산하기 위해 투입된 모든 재화와 용역의 경제적 가치를 화폐액으로 나타낸 것
* 일정 단위당의 논벼(쌀)를 생산하기 위하여 소요된 모든 투입물(자급, 구입 불문)을 계상
◦ 생산에 투입된 생산요소의 구입에 따른 화폐 지출이 실제로 일어나는 비용과 생산활동을 했을 때 포기해야 하는 이득을 화폐액으로 표시한 비용을 모두 포함
2) 내급비
◦ 자기소유의 생산요소를 당해 작물 생산을 위해 투입했을 경우 그 경제적 가치로 농가경제 내부에서 지급되는 비용
* 내급비 = 자가노동비 + 자가토지용역비 + 자본용역비
3) 경영비
◦ 생산비에서 내급비를 공제한 회계학상의 비용개념
* 경영비 = 생산비 내급비(자가노동비 + 자가토지용역비 + 자본용역비)
4) 총수입
◦ 1년간 해당 작물(논벼 등)의 농업경영 결과로 얻은 총수입으로서 주산물평가액과 주산물 생산에 부차적으로 생산되는 부산물(볏짚 등) 평가액의 합
5) 소득
◦ 소득 = 총수입 경영비
6) 순수익
◦ 순수익 = 총수입 생산비
양곡관리법 A to Z
양곡관리법개정안(본회의 수정안)이 국회 본회의(2023.03.23)를 통과하면서 정부로 이송되었다.(2023.03.31) 하지만 정부(윤석열)는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하며 국무회의에서 상정,의결된 양곡관
thinkdiff.tistory.com
우리는 쌀을 얼마나 소비하고 생산할까? (feat.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포함)
우리는 쌀을 얼마나 소비하고 생산할까? (feat.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포함)
요즘 쌀값 폭락과 관련해서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정부의 쌀 초과생산량에 대한 의무 매입이 가시화 되어 가고 있는데요,,, 정부는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반대하며 거부
thinkdiff.tistory.com
반응형'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쌀을 얼마나 소비하고 생산할까? (feat.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포함) (0) 2023.04.10 우리 집 에어비앤비로 돈 좀 벌어볼까? (0) 2022.12.26 2023년 바뀌는 제도 (0) 2022.12.26 핫팩은 어떻게 해서 뜨거워 지는 걸까?(핫팩원리) (0) 2022.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