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교량의 등급
    토목시공 2023. 1. 13. 17:16
    반응형

    도로 설계시 '도로교 설계기준'에 명시된 교량 등급에 따라 설계하중을 적용해야 한다. 이때 적용되는 설계기준 자동차는 소형자동차, 대형자동차, 세미트레일러로 구분된다.

    도로 설계시 적용하는 하중에는

    • 고정하중
    • 활하중
    • 충격하중
    • 풍하중
    • 설하중

    등이 있으며

    활하중에는 자동차 하중, 즉 표준트럭하중(DB하중) 또는 차로하중(DL하중)을 적용한다. 

    DB 하중에는 DB-24, DB-18, DB-13.5 세 종류의 하중이 있으며, 등급에 따라 적용되는 하중이 다르다.

     

    도로교설계기준의 교량 등급

    [교량의 등급]

    <1등교>

    1. DB-24로 설계하는 교량
    2.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3. 교통량이 많고 중차량 통과가 불가피한 도로
    4. 국방상 중요한 도로상에 가설하는 교량
    5. 장대교량


    <2등교>

    1. DB-18로 설계하는 교량
    2. 일반국도, 특별광역시도와 지방도상 교통량이 적은 교량
    3. 시도 및 군도 중 중요한 도로상에 가설하는 교량


    <3등교>

    1. DB-13.5로 설계하는 교량
    2. 산간벽지에 있는 지방도
    3. 시도 및 군도 중 교통량이 극히 적은 곳에 가설하는 교량

     

    DB하중

     

    전륜하중 0.1W, 후륜하중 0.4W 를 적용하고, W(중량)=24ton으로 계산했을 때

    전륜: 24x0.1=2.4ton

    후륜: 24x0.4=9.6ton

     총하중: 2.4x2+9.6x4=43.2ton 

    을 1등교에 설계시 활하중(표준트럭하중)으로 적용해 설계한다.

    2등교는 DB-18, 3등교는 DB-13.5를 표준트럭하중으로 적용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