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도로 설계시 '도로교 설계기준'에 명시된 교량 등급에 따라 설계하중을 적용해야 한다. 이때 적용되는 설계기준 자동차는 소형자동차, 대형자동차, 세미트레일러로 구분된다.
도로 설계시 적용하는 하중에는
- 고정하중
- 활하중
- 충격하중
- 풍하중
- 설하중
등이 있으며
활하중에는 자동차 하중, 즉 표준트럭하중(DB하중) 또는 차로하중(DL하중)을 적용한다.
DB 하중에는 DB-24, DB-18, DB-13.5 세 종류의 하중이 있으며, 등급에 따라 적용되는 하중이 다르다.
도로교설계기준의 교량 등급
[교량의 등급]
<1등교>
1. DB-24로 설계하는 교량
2.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3. 교통량이 많고 중차량 통과가 불가피한 도로
4. 국방상 중요한 도로상에 가설하는 교량
5. 장대교량
<2등교>
1. DB-18로 설계하는 교량
2. 일반국도, 특별광역시도와 지방도상 교통량이 적은 교량
3. 시도 및 군도 중 중요한 도로상에 가설하는 교량
<3등교>
1. DB-13.5로 설계하는 교량
2. 산간벽지에 있는 지방도
3. 시도 및 군도 중 교통량이 극히 적은 곳에 가설하는 교량DB하중
전륜하중 0.1W, 후륜하중 0.4W 를 적용하고, W(중량)=24ton으로 계산했을 때
전륜: 24x0.1=2.4ton
후륜: 24x0.4=9.6ton
총하중: 2.4x2+9.6x4=43.2ton
을 1등교에 설계시 활하중(표준트럭하중)으로 적용해 설계한다.
2등교는 DB-18, 3등교는 DB-13.5를 표준트럭하중으로 적용한다.
반응형'토목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9말뚝시험의 종류 및 특징 (1) 2023.01.16 건설공사 중 발생되는 소음,진동 관리기준과 저감대책 (0) 2023.01.16 암반분류법 RMR (Rock Mass Rating) (0) 2023.01.13 암반분류법 Q-system (0) 2023.01.12 교량기초의 세굴 및 세굴 방지대책 (0) 2023.01.12